쿠버네티스란?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을 위한 솔루션으로 오케스트레이션이란 복잡한 단계를 관리하고 요소들의 유기적인 관계를 미리 정의해 손쉽게 사용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사용하는 이유?
다른 오케스트레이션 솔루션보다는 시작하는 데 어려움이 있지만,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들이 있어서 설치가 쉬워지는 추세이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쿠버네티스가 지속적으로 계속 발전되고 있어서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을 넘어 IT 인프라 자체를 컨테이너화하고, 컨테이너화된 인프라 제품군을 쿠버네티스 위에서 동작할 수 있게 만듬.
즉 거의 모든 벤더와 오픈 소스 진영 모두에서 쿠버네티스를 지원하고 그에 맞게 통합 개발하고 있다.
쿠버네티스 구성 방법
크게 3가지 방법으로
1. 퍼블릭 클라우드 업체에서 제공하는 관리형 쿠버네티스인 EKS(Amazon Elastic Kubernetes Service), AKS(Azure Kubernetes Services), GKE(Google Kubernetes Engine) 등을 사용. 구성이 이미 다 갖춰져 있고 마스터 노드를 클라우드 업체에서 관리
2. 수세의 Rancher, 레드햇의 OpenShift와 같은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설치형 쿠버네티스를 사용. (유료)
3. 사용하는 시스템에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자동으로 구성해주는 솔루션을 사용. 주요 솔루션으로는 kubeadm, kops, KRIB, kubespray가 있음. 4가지의 주요 솔루션 중에 kubeadm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으며. kubeadm은 사용자가 변경하기도 수월하고, 온프레미스(On-Premises)와 클라우드를 모두 지원하며 배우기도 쉽다. 이러한 솔루션들을 구성형 쿠버네티스라고 함
'Cloud > Docker &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버네티스 파드 생성 (0) | 2023.04.20 |
---|---|
쿠버네티스의 구성 요소 (0) | 2023.04.19 |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구성 (1) | 2023.04.17 |
도커로 컨테이너 다루기 (0) | 2023.04.16 |
Docker? (0) | 2023.04.15 |